부천님 오신 날도 다가오고 해서 부산시 부산진구에 있는 부산 삼광사를 방문하였습니다. 날씨도 좋고 사람도 많지 않아서 정말 한적하고 여유를 느끼기 정말 좋았고 제가 가본 절 중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아름답고 웅장하다고 느낄 정도였습니다.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부산에서 범어사, 해동용궁사와 함께 3대 사찰로 불릴만하고 부산에 가볼만한 곳 이기도 합니다.
우리나라 불교종파
우리나라 불교는 대표적으로 조계종, 태고종, 천태종 3개의 종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 1945년까지 조계종 하나였으나, 1970년 5월 조계종과 태고종으로 양분되어 여러(30여) 개의 종단이 탄생하였습니다. 현재까지도 조계종이 큰 비중(약 80%)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구 분 | 사 찰 | 비구 스님 | 비구니 스님 |
조계종 | 약 2,800개 | 약 6,300명 | 약 2,600명 |
태고종 | 약 3,200개 | 약 6,100명 | 약 1,200명 |
천태종 | 약 350개 | 약 150명 | 약 250명 |
- 고려시대 대표적인 "선종(부처님 가르침을 공부해서 알게 되어 깨우치는 "교학"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임)" 9여 개를 하나로 묶어 "조계종"이라 부르게 되었으며,
- 일제 시대에 일본인들이 스님들을 강제로 결혼시켜 독신으로 사는 스님들과의 갈등이 발생되어 두 개의 종단으로 나뉘게 되는데 결혼한 스님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종단이 "태고종"이 되었고
- 이후 참선을 중요시하는 스님들이 또다시 "천태종", 긴 각종 등 새로운 종단을 만들게 되었습니다.
삼광사 규모
삼광사는 약 11만 5500㎡(3만 5천 평)의 대지에 1986년 지어진 비교적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초대형 사찰이며, 100여 평의 대웅보전 보유 및 1만여 명이 동시에 입장하여 대법회 및 각종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지관전(3000평)이 있습니다. 또한, 법화 삼매당(5층, 1700평), 대범 종각(104평), 지장전(2층, 264평)이 있습니다. 이밖에 문화재 53 존 불 팔면 구층 석탑, 석조여래좌상과 보물 진실주집(제921-3호), 대방 광원각 수다라 요의경(제1518-2호)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위치 및 교통편
부산 삼광사의 위치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부산진구 초읍동에 위치하고 있으며, 삼광사로 바로 갈 수 있는 마을버스 부산진 15번이 있습니다. 기타 삼광사 입구에서 내려서 걸어오려면 44번, 54번, 63번, 133번을 타시면 되겠습니다. 다만, 개인차를 통해 이동해도 문제는 없으나 불교 행사 때 특히 5월 달력을 보시면 부처님 오신 날, 우란분절, 동지 등이 되면 많은 인파가 몰리기에 주차할 장소가 없어 매우 불편하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댓글